년도  | 학위자명  | 
|---|---|
1999년 1학기  | 장영진, 송호열  | 
1999년 2학기  | 최낭수, 조성욱  | 
2000년 1학기  | 안재섭, 심승희, 김종법
  | 
2000년 2학기	  | 이긴용  | 
2001년 1학기	  | 양희경
  | 
2002년 2학기	  | 오정준, 남영
  | 
2003년 1학기	  | 박선희, 윤옥경
  | 
2003년 2학기	  | 신영규, 최은영
  | 
2004년 1학기	  | 류주현
  | 
2004년 2학기	  | 김학희
  | 
2005년 2학기	  | 고선영, 문창현, 신성희, 이명옥
  | 
2006년 2학기	  | 조대헌
  | 
2007년 1학기	  | 김재일
  | 
2007년 2학기	  | 김다원, 한미섭, 이춘경
  | 
2008년 1학기	  | 한지은
  | 
2008년 2학기	  | 신영재  | 
2009년 1학기	  | 최광희
  | 
2010년 2학기	  | 이훈정, 박병석
  | 
2011년 1학기	  | 변종민  | 
2012년 2학기	  | 김현주
  | 
2013년 1학기	  | 김기남
  | 
2013년 2학기	  | 이동민, 홍성찬
  | 
2014년 2학기	  | 김효화, 최영진
  | 
2015년 2학기	  | 임영신
  | 
2017년 2학기	  | 이찬주, 한민
  | 
2018년 1학기	  | 유수진  | 
2018년 2학기	  | Lei Zhu
  | 
2019년 2학기	  | 신원정
  | 
2020년 1학기	  | 류나영, 김한승, 이소영, 권은주
  | 
2020년 2학기	  | 박지희  | 
2021년 2학기	  | 임미연, 신수임  | 
2022년 1학기	  | 홍유진, 오동훈  | 
2023년 1학기	  | 최아수  | 
[2000년대]
1999년 1학기
장영진  | 기업의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과 협력 관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- LG 전자를 사례로
  | 
송호열	  | 산간곡지의 겨울철 기온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
  | 
1999년 2학기
최낭수  | 지리교과에서 아동의 지도 도해력 향상에 관한 실험연구
  | 
조성욱	  | 고등학교 경제지리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
  | 
2000년 1학기
안재섭  | 중국 천진 경제기술 개발구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
  | 
심승희	  | 문화관광의 대중화를 통한 공간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연구- 강진, 해남 지역을 사례로
  | 
김종범	  | 대외개방에 따른 중국 동북지역 도시체계 발달에 관한 연구
  | 
2000년 2학기
이간용	  | 지리교육의 지능 공정한 참평가 모형 개발과 적용
  | 
2001년 1학기
양희경	  | 지형 및 인위적 변수에 의한 산지하천의 분류 – 경기도의 수동천 수입천, 조종천 및 가평천을 사례로
  | 
2002년 2학기
오정준  | 제주도의 지속 가능한 관광에 관한 연구 – 생태관광지의 사례를 중심으로
  | 
남 영	  | 중국 도시 네트워크의 변화 – 철도망의 공간분석을 통하여
  | 
2003년 1학기
박선희	  | 전주의 금융 상업공간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– 일제 강점기를 중심으로
  | 
윤옥경	  | 지역에 대한 학습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– 아산만 지역을 사례로
  | 
2003년 2학기
신영규  | 대관령 지역의 토지 이용에 따른 수질 특성 및 오염물 유출 부하량 비교
  | 
최은영	  | 서울의 거주지 분리 심화와 교육환경의 차별화
  | 
2004년 1학기
류주현	  | 종합소매업 공간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– 대전시를 사례로
  | 
2004년 2학기
김학희  | 세계지리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의 정형성에 대한 연구 – 일상음식을 통한 글로벌 교육의 지리적 대안 개발
  | 
2005년 2학기
고선영	  | 장소자산에 기반한 농촌체험 관광마을의 유형화
  | 
문창현	  | 순천만 지역의 생태관광에 대한 연구
  | 
신성희	  | 장소의 선택적 조성과 자산화 – 북한 금강산 관광특구의 개발을 사례로
  | 
이명옥  | 중국 연길시의 도시화 특성에 관한 연구
  | 
2006년 2학기
조대헌	  | 도시계획의 지원을 위한 GIS-CA기반의 미시적 도시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
  | 
2007년 1학기
김재일	  | 초등학생들의 스케일 선호도에 근거한 지평확대법의 비판적 논의
  | 
2007년 2학기
김다원	  | 세계지역의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에 관한 연구
  | 
한미섭	  | 송도 신도시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– 송도 IT클러스터 사업을 중심으로
  | 
이춘경  | 호수 퇴적물을 이용한 두만강 유역의 환경변화 연구
  | 
2008년 1학기
한지은	  | 근대 역사경관의 노스탤지어를 이용한 상하이의 도심재생
  | 
2008년 2학기
신영재	  | 상업 지역의 지가 형성 요인의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특성 연구
  | 
2009년 1학기
최광희  | 홀로세의 해안사구 형성과 해수면 변화 – 동해안과 서해안을 중심으로
  | 
2010년 2학기
이훈정  | 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지역중심 환경수업 전략
  | 
박병석	  | 지리 교사의 지리 교육 내용에 대한 현실관련성(relevance) 인식 연구
  | 
2011년 1학기
변종민	  | 한반도 지반융기운동사 이해를 위한 수치지형발달모형의 개발과 적용
  | 
2012년 2학기
김현주	  | 길안내 스케치맵과 구술에서 나타난 학생의 공간 인지 특징 연구
  | 
2013년 1학기
김기남	  | 행동관계의 조절이 공간정보의 지각과 활용에 미치는 효과
  | 
2013년 2학기
이동민	  | 마음챙김 학습을 통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관한 연구 : 지리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
  | 
홍성찬	  | 루미네선스 연대측정을 이용한 한반도 동해안의 해안단구 퇴적층 형성 연대에 관한 연구
  | 
2014년 2학기
김효화	  | 활동중심지 개념을 기반으로 한 수도권 다핵 중심성 변화 연구
  | 
최영진	  | 한국 중화학 공업화의 지리-정치경제학적 연구:현대조선과 창원공단을 사례로
  | 
2015년 2학기
임영신	  | Evaluation of suspended sediment sources in the Yeongsan River
  | 
2017년 2학기
이찬주	  | 내성천 하도의 장기 변화 분석 : 지형 및 지표피복을 중심으로
  | 
한민	  | 한반도 자갈 해빈의 지형 특성 및 퇴적물 이동 추적 연구
  | 
2018년 1학기
유수진	  | 지리수업에서의 공감적 관점채택이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: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편견을 사례로
  | 
2018년 2학기
Lei Zhu	  | Exploring Spatial Variations in the Influences of Health-threatening Anthropogenic Factors on Human Health : An ESDA Approach to Remote Sensing Data
  | 
2019년 2학기
신원정	  | 한반도 남·서해안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이후 퇴적 환경 변화 및 지형발달
  | 
[2020년대]
2020년 1학기
류나영	  | 우리나라 광역도시권의 스프롤 연구 : 스프롤의 측정과 스프롤이 통근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
  | 
김한승	  | 지도 문해력 향상을 위한 지도 지각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: SRC와 시선추적기를 이용한 분석
  | 
이소영  | 교육지리학 관점에 기반한 네이버후드 효과 연구 :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한 다수준 모형의 활용
  | 
권은주	  |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 분석을 통한 지리교육에서의 안전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: 서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
  | 
2020년 2학기
박지희	  | 학생쏠림과 학령 인구 이동의 시공간적 역동성 탐색
  | 
2021년 2학기
임미연  | 지역 호기심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| 
신수임  | 사회주택을 통해 구현된 공공성 가치의 확장에 관한 연구  | 
2022년 1학기
홍유진  | 수도권 교외지역의 변화와 쇠퇴: 쇠퇴 탐색과 쇠퇴 특성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| 
오동훈  | 재현과 비재현의 스펙트럼: 광화문 네거리의 도시 상징경관을 사례로  | 
2023년 1학기
최아수  | 도농복합시 공간구조의 시공간 역동성 연구  | 
2024년 1학기
진훈  |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headwater catchments and bedrock channels in mountain drainage basins  | 
2024년 2학기
강다희  | 피지털 장소론적 관점을 통한 플랫폼과 도시의 공생성적 관계 탐색: 지역 기반 플랫폼 ‘당근’을 사례로  | 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