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TOP

 

교수진

김민성 부교수

Kim, Minsung

전공지리교육학, 공간인지, 공간적 사고,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, 교육과정
주소9동 314호
연락처02) 880-9029
이메일geomskim@snu.ac.kr
주요학력

2011. 12.

Texas A&M University 지리학과(지리교육 전공) 박사

2006. 2.

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(지리전공) 석사

2004. 2.

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학사

주요경력

2022. 9. ∼ 현재

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부교수

2020. 9. ∼ 2022.8.

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

2018. 9. ∼ 2020. 8.

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

2016. 7. ∼ 2018. 8.

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

2015. 3. ∼ 2016. 6.

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현)

일본 아오모리대학교 객원교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현)

서울대학교 환경교육협동과정 겸무교수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현)

서울대학교 AI 융합학과 겸무교수

출간논문

김민성∙박의현∙유수진∙김경령∙이영태, 2025

책임교육학년제 지리 프로그램 ‘서울大탐험’의 개발과 함의, 한국지리학회지, 14(2), 67-80. 

박지수∙김민성, 2025

AI 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국내 영토교육 연구 동향과 발전 방향, 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33(2), 1-14.

Kim, M., 2024

Strategies for cultivating powerful knowledge using geospatial technologies at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, Geography, 109(3), 116-126. 

박아름∙김민성, 2024

메타버스 플랫폼 ZEP을 활용한 지리 학습의 교육적 효과: 학습 흥미, 학습 몰입감, 학습 만족도를 중심으로, 교사교육연구, 63(2), 251-266.

김민성∙박지수, 2024

독도교육 연구 동향과 미래 방향성 탐색, 사회과교육, 63(1), 83-102.

김민성, 2024

영국 지리 교과서는 아프리카를 어떻게 다루는가? Geog. 시리즈를 사례로, 경관과 지리, 34(1), 1-16. 

김민성∙김이성2023

대지형과 인간 생활의 관계 학습을 위한 홀리스틱 지오그래피(Holistic Geography)의 활용, 한국지리학회지, 12(3), 433-447. 

김민성2023

감정지리학 기반 공간 이야기 만들기 프로젝트의 교육적 효과, 한국지리학회지, 12(2), 281-295.

김민성∙이윤구2023

2022 개정 세계시민과 지리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, 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31(2), 1-14. 

Kim, M., 2023

Promoting civic engagement competence through emotional geography-based spatial story making in community participation projects, Journal of Geography, 122(2), 43-53.

김민성∙문현빈∙신용정∙박의현, 2023

증강현실 샌드박스를 활용한 지리 학습의 교육적 효과: 해안 퇴적 지형을 사례로, 한국지리학회지, 12(1), 43-57.

김민성, 2022

감정지리학의 교육적 활용: 캠퍼스 감정지도화 활동, 교사교육연구, 61(4), 421-434.

김민성, 2022

탐구기반 지리답사 기획 프로젝트를 통한 지리답사 교수내용지식 함양, 한국지리학회지, 11(4), 393-405.

김민성, 2022

목표기반시나리오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지리 교수학습 전략 개발, 한국지리학회지, 11(3), 271-286.

김민성, 2022

걷기를 통한 도시 공간의 심리지리학적 탐색과 시각화, 한국지리학회지, 11(1), 1-14.

Kim, M., 2022

Developing pre-service teachers’ fieldwork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hrough designing enquiry-based fieldwork,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, 46(1), 61-79.

김민성, 2021

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과 지리교육의 과제, 한국지리학회지, 10(3), 329-345.

김민성∙김현미, 2021

지리답사를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, 교사교육연구, 60(2), 213-226.

이호욱∙김민성, 2021

지리공간서비스를 활용한 학생 중심 융복합 프로젝트 수업의 교육적 효과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9(2), 53-69.​

Kim, M., 2021

The pedagogical effects of psychogeographic urban exploration and mapping, Geography, 106(2), 92-100.​

김민성, 2021

힘있는 지식의 의미와 지리학습전략, 한국지리학회지, 10(1), 1-17.​

김민성∙김종근, 2021

탐구적, 다감각적 지리답사 전략: 부산시 영도를 사례로, 한국사진지리학회지, 31(1), 56-74.​

김기남∙김민성, 2021

세계지리 시험 문항이 추동하는 지역 편견의 문제와 대안적 문항 구성 전략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9(1), 119-132.

김민성, 2020

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dispositional, cognitive, and critical components of spatial literacy: Focusing on spatial habits of mind, spatial concepts and skills, and critical spatial thinking, 지리교육논집, 64, 21-34.

김민성, 2020

캐나다 온타리오주 지리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: 역량기반 관점에서의 접근, 한국지리학회지, 9(3), 441-456.​

김민성, 2020

온라인 시각화 도구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일상생활공간 탐색, 한국지리학회지, 9(1), 1-15.​

김민성, 2020

지리에 대한 인식 조사: 지리 전공과 비전공 대학생 비교를 중심으로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8(1), 33-47.​

김민성, 2019

공간적 관점 및 도구와 역사적 콘텐츠의 융합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7(4), 55-68.​

Kim, M. and Lee, S., 2019

Fostering place attachment through selecting and presenting favorite places,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, 28(4), 296-308.

Kim, M., 2019

Foster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by observing everyday environments, Journal of Geography, 118(4), 157-168.

김민성·류재명, 2019

지리교육을 통한 변혁적 리더십 함양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7(2), 99-112.

김민성, 2019

체화된 인지의 의미와 지리교육에서의 활용, 한국지리학회지, 8(1), 1-18.

김민성, 2019

프로젝트기반학습에서 대학원생들의 멘토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,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9(5), 239-262.

김민성·이상일, 2018

대학생들의 방향과 위치에 대한 인지지도, 한국지리학회지, 7(3), 245-259.

김민성, 2018

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수업과 한국 지리교육과정에의 시사점, 한국지역지리학회지, 24(4), 574-590.

Kim, K. and Kim, M., 2018

Effects of task demand and familiarity with scenes in visuospatial representations on the perception and processing of spatial information, Journal of Geography, 117(5), 193-204.

Kim, M., 2018

Project-based community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,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, 42(1), 61-79.

김민성·유수진·전영권, 2018

청송세계지질공원 초등 교육교재 개발 및 적용, 한국지역지리학회지, 24(1), 192-205.

김민성, 2017

공간적 시민성의 개념화와 적용: 장애인 시각에서 대구 근대화 골목 바라보기, 한국지리학회지, 6(3), 339-354.

김민성·김진숙·박수련, 2017

북한의 2013 개정 지리교육과정 탐색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5(3), 69-83.

김민성, 2017

능동적 학습자가 되기 위한 성장통: 학생중심학습에서 학습자 태도 변화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5(2), 115-128.

Kim, M., Cho, D., Lee, S., and Shin, J., 2017

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a web-based time-geographic visualisation tool, Geography, 102(2), 71-78.

김민성, 2016

로우테크 원격탐사 활동의 교육적 효과: 비판적 공간사고력을 중심으로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4(4), 115-130.

김민성·이상일·이소영, 2016

지리공간서비스의 교육적 함의와 교수학습 모델 개발, The SNU Journal of Education, 25(1), 1-26.

김민성·유수진, 2016,

목표기반시나리오를 활용한 환경교육 교수학습모듈의 개발과 적용, 한국지역지리학회지, 22(2), 466-482.

전영권·김민성, 2016

지역사회 자연문화재의 교육적 활용방안: 경산 지역 스트로마톨라이트를 사례로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4(2), 33-48.

Kim, M. and Shin, J., 2016

The pedagogical benefits of SimCity in urban geography education, Journal of Geography, 115(2), 39-50.

김민성·이창호, 2015

지리공간기술 기반 봉사학습 프로젝트: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의 지역사회 참여, 한국지도학회지, 15(3), 63-77.

Kim, K., Kim, M., Shin, J., and Ryu, J., 2015

Eye-movement analysis of students’ active examination strategy and its transfer in visuospatial representations, Journal of Geography, 114(4), 146-157.

김민성, 2014

지리 오개념 형성 메커니즘: 고등학생들의 한국지리 오개념을 사례로, 대한지리학회지, 49(4), 601-614.

김민성, 2014

투영법과 축척에 대한 미국 대학생들의 이해, 한국지도학회지, 14(2), 15-26.

김민성, 2014

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교육과정: 역량기반 관점에서의 해석과 지리교육적 함의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2(1), 1-14.

김민성·유수진, 2014

지리공간기술을 이용하는 목표기반시나리오 학습모듈 개발, 사회과교육, 53(1), 79-93.

김민성·윤옥경, 2013

장소감 측정도구의 개발과 적용: 초등학생의 성별 차이를 사례로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21(2), 17-28.

Kim, M. and Bednarz. R., 2013

Development of critical spatial thinking through GIS learning,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, 37(3), 350-366.

Kim, M. and Bednarz. R., 2013

Effects of a GIS course on self-assessment of spatial habits of mind (SHOM), Journal of Geography, 112(4), 165-177.

김민성, 2013

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 교과서 재구성 전략: 르완다를 사례로, 사회과교육, 52(2), 59-72.

김민성, 2013

교사들이 인지하는 고등학생들의 한국지리 오개념, 대한지리학회지, 48(3), 482-496.

Kim, M., Kim, K., and Lee, S.-I., 2013

Pedagogical potential of a web-based GIS application for migration data: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, Journal of Geography, 112(3), 97-107.

Kim, M., 2013

The role of gender and academic major on spatial habits of mind (SHOM) in GIS learning,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, 13(1), 73-86.

김민성·최재영, 2012

스마트폰 GPS를 활용한 지리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, 사회과교육, 51(3), 73-85.

Seo, T.-Y. and Kim, M., 2012

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Korea,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47(4), 625-640.

Kim, M., Bednarz. R., and Kim. J., 2012

The ability of young Korean children to use spatial representations,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, 21(3), 261-277.

김민성, 2011

지리교육 연구에서의 양적 방법론: 효과 크기의 개념과 활용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19(2), 205-220.

Kim, M., Bednarz, R., and Lee. S., 2011

GIS education for teachers in South Korea: Who participates and why?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, 46(3), 382-395.

김민성·조성욱, 2011

미국 대학생들의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: 텍사스주 대학생을 사례로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19(1), 105-118.

김민성, 2010

교육 현장의 GIS 관련 상황과 교육적 사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18(2), 173-184.

김민성, 2008

미국 세계지리 과목의 교사연수: 텍사스주 TALWG(Teaching and Learning World Geography) 워크숍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16(3), 281- 290.

김민성, 2007

공간적 사고와 GIS의 교육적 사용에 대한 가능성 탐구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, 15(3), 233-245.

저역서

2025

텍사스에서는 일상이 여행이 된다, 푸른길. 

2025

고등학교 세계시민과 지리, 천재교과서.

2022

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과 지리 교수학습 전략,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, 교육과학사, 105-127.

2019

미국 대학의 세계지리 수업 탐색,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, 푸른길, 416-431.

2018

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지역사회 참여 봉사학습, 현대 지리교육학의 이해, 푸른길, 218-239.

2017

지리정보시스템(GIS)과 지리교육 연구의 동향과 쟁점, 학문연구의 동향과 쟁점, 대한민국학술원, 406-438.

2016

가까이서 보는 청송국가지질공원, 도서출판 신일.

2011

South Korea: GIS implementation profiles among secondary geography teachers, in Milson, J. M., Demirci, A., and Kerski, J. J.(eds.),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with GIS in Secondary Schools, 233-241, New York: Springer.

학술 및 교육 관련 수상

2020

신진연구자상, 부산대학교

2016

Journal of Geography Award,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

2013

Best Lecturer Award, 동국대학교

2013

진골상,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

2007

우수강사상, 청주교육대학교